집 앞 버스 정류장에서 학교까지 가는 버스 A, B, C의 운행정보가 다음과 같을 때, 2대 이상의 버스가 정차하는 시간대를 출력 1. 버스 A, B 운행 정보 - 오전 6시 첫 차: 오후 23시 운행 종료 - 버스A : 15분 간격 운행 - 버스B : 13분 간격 운행 2. 버스 c 운행 정보 - 6시 20분 첫 차: 오후 22시 운행 종료 - 버스C : 8분 간격 운행 busA = 15busB = 13busC = 8totalMin = 60 * 17 # 총 17시간 운행for i in range(totalMin + 1): if i (totalMin - 60): if i % busA == 0 and i % busB == 0: ..
'*'를 이용해서 다양한 모양을 출력 for i in range(1, 6): print('*' * i)print('-' * 50)for i in range (1, 6): for j in range (6 - i - 1): print (' ', end ='') for k in range (i): print ('*', end='') print()print('-' * 50)for i in range (5, 0, -1): print ('*' * i)print('-' * 50)for i in range (5, 0, -1): for j in range (6 - i - 1): print (' ', end ='') for k in range ..
1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정수까지의 합, 홀수의 합, 짝수의 합 그리고 팩토리얼을 출력하는 프로그램 num = int(input('정수 입력: '))allSum, oddSum, evenSum, factorial = 0, 0, 0, 1for i in range (1, num+1): allSum += i if (i % 2 == 1): oddSum += i else: evenSum += i factorial *= iprint('합 결과 : {}'.format(allSum))print('홀수 합 결과 : {}'.format(oddSum))print('짝수 합 결과 : {}'.format(evenSum))print('팩토리얼 결과 : {:,}'.format(factori..
- PC가 난수(1 ~ 1000)를 발생하면 사용자가 숫자(정수)를 입력한다 - 사용자가 난수를 맞추면 게임이 종료된다. - 만약, 못 맞추게 되면 난수와 사용자 숫자의 크고 작음을 출력한 후 사용자한테 다시 기회를 준다. -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시도한 횟수를 출력한다. import randomrandomNum = random.randint(1, 1000)tryCnt = 0gameFlag = Truewhile gameFlag: tryCnt += 1 userNum =int(input('1에서 1,000까지의 정수 입력: ')) if randomNum == userNum: print('정답!') gameFlag = False else: ..
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로 차량 운행제한 프로그램 만들기 - 미세먼지 측정 수치가 150이하면 차량 5부제 실시 - 미세먼지 측정 수치가 150을 초과하면 차량 2부제 실시 - 차량 2부제를 실시하더라도 영업용차량은 5부제 실시 - 미세먼지 수치, 차량 종류,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운행 가능 여부 출력 import datetimetoday = datetime.datetime.today()day = today.daylimitDust = 150dustNum = int(input('미세먼지 수치 입력: '))carType = int(input('1.승용자 | 2. 영업용차 >>> '))carNum = int(input('차량 번호 입력: '))print('*' * 50)print(t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