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론 욕심부리지 않고 기초적인 기본 홈페이지를 만드는 데 필요한 CRUD를 목표로 진행했다. 사용한 코드를 하나하나 분석하며 나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, 완전히 날 것보다는 조금은 꾸며두는게 보기 좋을 것 같아 HTML/CSS를 더하고 다듬었다. 본론 Controller > Service > DAO > Mapper 순으로 진행되는 것은 수업을 통해 맥락이 잡혀 있었으나, 이클립스에 코드를 써가며 블로그에 설명을 병행하다보니, orm package에 담긴 DatabaseBuilder가 왜 DAOImpl에서 사용되는지 다시 한 번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. 또한, 수업 중에 받아쓰기에 급급해서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갔던 Pagination을 만드는 방법이나 Mapper에서 SQL 예비구문을 쓰는 ..
![[JSP/Servlet] 19. 화면 꾸미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xzg6g%2FbtsBULzsQ3x%2FYcMmhFEBLL9shY8SYLLtK1%2Fimg.png)
메인 홈 회원가입 로그인 로그인 후 메인 홈 출석부 게시판 (상부) 게시판 (하부) 글쓰기 게시물 상세 - 첨부 파일 없을 때 게시물 상세 - 첨부 파일 있을 때 게시물 상세 - 댓글 게시물 수정 - 첨부 파일 없을 때 게시물 수정 - 첨부 파일 있을 때 마이페이지 나의 게시물 [JSP/Servlet] 19. 화면 꾸미기 (다음 게시물 예고편) [JSP/Servlet] 20. 회고록
![[JSP/Servlet] 18. 나의 게시물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dVZKD%2FbtsBUAcjLVd%2Fm2auc0pLhNRO0fmUNfx3I0%2Fimg.png)
마이페이지에서 내가 쓴 게시물을 볼 수 있는 버튼을 만들었다. member > mypage.jsp 마이페이지 수정 회원탈퇴 나의 게시물 MemberController.java package controll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util.List; import javax.servlet.RequestDispatcher; import javax.servlet.ServletException; import javax.servlet.annotation.WebServlet; 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; 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Request; import javax.servlet...
![[JSP/Servlet] 16. 댓글 - 수정과 삭제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U36kp%2FbtsBJeIjwRv%2FRyCJgsKCufQi8cnVNTqVu0%2Fimg.png)
댓글 생성과 리스트 출력을 이해했다면 수정과 삭제는 크게 어렵지 않다. 만약, 댓글의 생성과 리스트 출력을 이해하지 못했다면 https://rlog0918.tistory.com/192 이곳을 참고하기 바란다. CommentController.java package controller;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PrintWriter; import java.util.List; import javax.servlet.ServletException; import javax.servlet.annotation.WebServlet; 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; import..
![[JSP/Servlet] 15. 댓글 - 등록과 리스트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tKQzE%2FbtsBJc4G4Ci%2FSzsnKrvfUb7zqXaRm08Pk0%2Fimg.png)
댓글 기능들을 구현하기에 앞서 MVN Repository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찾아 Eclipse에서 WEB-INF > lib에 라이브러리들을 넣어둔다.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json-simple-1.1.1 이며, MVN Repository의 링크는 다음과 같다. https://mvnrepository.com/ 라이브러리 추가를 완료했다면 댓글 생성을 위해서 DB에 comment table을 생성한다. sql.sql /* ... (기존 코드) */ -- 2023-12-12 CREATE TABLE comment ( cno INT AUTO_INCREMENT, bno INT NOT NULL, -- 회원만 쓰게 하려면 default 쓰지 말고 not null writer VARCHAR(100) NOT NULL,..